자동차 환급금 조회, 이렇게 하면 100% 받을 수 있어요.

자동차 환급금 조회에 대해 얘기해드릴게요. 보통 자동차를 사면 취등록세나 자동차세 같은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그런데 차를 사고 나서 5년이나 7년이 넘게 지나면 자동차 환급금을 받을 수 있다는 건 아셨나요? 이런 사실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자동차 환급금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자동차 환급금을 제외하고 소득세 환급금도 있다는 사실 알고 있으셨나요? 지금 바로 소득세 환급 알아보세요.

자동차 환급금 조회란?

👉 유튜브 프리미엄 3,000원에 가입하기

자동차를 구매하면서 필수적으로 ‘지역개발채권’을 구입해야 하는데요, 이는 해당 지역의 주민들의 생활 향상과 지역개발 사업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발행되는 것입니다. 차의 배기량이나 등록 지역에 따라 채권의 종류와 비율이 달라지고, 대체로 차량 가격의 4%에서 9% 사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장애인용 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 수소차, 전기차 같은 경우에는 이 채권 구입의무가 없고, 지역에 따라서는 소형차나 경차도 면제될 수 있어요.

이렇게 구매한 자동차 채권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는데, 이를 ‘자동차 환급금’이라고 합니다. 이 환급금을 받기 위해서는 차량을 5년 이상 보유해야 하며, 서울에서는 7년 이상이어야 해요.

그리고 이 환급금은 소멸 시효가 있기 때문에, 정해진 기한 안에 신청해서 받아야 합니다. 즉, 서울은 7년, 다른 지역은 5년 이상 차량을 보유하면 원금과 이자를 합친 환급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자동차 환급금 조회 방법

자동차 환급금 조회는 각 은행의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은행마다 메뉴 배치가 좀 다르기 때문에, 공과금이나 미상환채권 조회 관련 메뉴를 찾아보시거나 은행의 고객센터에 연락하시면 상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예로, 신한은행에서는 전체메뉴에서 ‘공과금’을 선택하고, 그 후에 ‘공공기관 채권’, ‘만기매도’, ‘자동차 채권 미환급금 조회 및 신청’ 메뉴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지역은행 바로가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창원, 울산
농협은행
서울, 인천신한은행
대구대구은행
광주광주은행
대전, 세종하나은행
부산부산은행
전북전북은행

자동차 환급금 조회 – 농협은행

예를 들어서 농협은행에 UI를 통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농협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됩니다. 물론, 모바일 NH농협을 통해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농협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

2. 홈페이지에 있는 ‘공과금’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3. 그 다음에 ‘지역개발채권’을 선택하세요.

4. ‘미상환채권조회/상환’ 메뉴를 찾아 클릭해주세요.

5. 간단한 조회가 아닌 ‘전체조회’를 선택하고,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후 검색을 눌러주세요.

6. 마지막으로 검색 결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자동차 환급금 조회 결과

온라인으로 자동차 채권을 조회하면 결과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올 수 있어요. 만약 조회 결과에서 상환받을 금액이 0원으로 나온다면, 그건 만기가 지난 지역개발채권이 없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환급받을 금액이 나온다면, 바로 그 자리에서 환급 신청도 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이것은 마치 자동차 마일리지 자동 가입과 같은 유용한 정보입니다. 조회를 해봤는데 아예 내역이 나오지 않거나, 환급받을 금액이 0원인데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면, 차량이 경차인지 확인해보세요. 왜냐하면 경차는 채권 매입 면제 차량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농협은행 뿐만 아니라 신한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등에서도 자동차 채권 미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세요. 그리고 한 가지 팁을 더 드리자면, 공휴일에는 조회가 잘 안 될 수 있으니, 가능하다면 평일에 조회해보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