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약냉방칸에 대한 최신 정보를 즉시 받아보고 싶으신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서울 지하철은 1,3,4호선은 4째, 7번째칸 5,6,7호선은 4,5번째칸, 8호선은 3,4번째칸이며 2호선은 약냉방칸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관련 칸 가지 이동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각 칸의 가운데에 가시면 추위를 피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정확한 지하철 약냉방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지하철에 민원 신고하고 싶으신가요?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버튼 마련했으니 빠르게 약냉방칸 또는 민원 요청하시고 시간을 아끼시기 바랍니다.
지하철 약냉방칸
먼저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서울교통공사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래 사진을 통해서 보시면 더 편하겠지만, 공통점이 보이시나요? “서울은 4번째 칸” 을 생각하셔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4번 째 간에 모든 열차가 약냉방칸이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순환용 2호선은 약냉방칸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보통, 지하철 약냉방칸은 26~28도 사이로 유지하고 있으며 여름철 (6월 ~9월) 까지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점 참고하셔서 지하철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지방 지하철은 2 번째 칸만 기억하시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남겨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약냉방칸이 없는 경우에 지하철 고객 센터에 연락하여 냉방 감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컨이 설치된 구획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냉각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하셔야 합니다.
냉 통풍구와 가장 가까운 측면에 위치한 좌석이 가장 시원한 편이며, 평균 온도는 22~23도 정도를 유지합니다. 반대로, 중앙 좌석은 냉각 영역 내에 있지만 차가운 공기가 측면으로 쌓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다 지하철 약냉방칸을 경험합니다.
서울교통공사 고객센터 – 또타
서울교통공사에서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것 알고 있으셨나요? 모바일을 통해서 쉽게 고객센터로 연락할 수 있으며 냉방을 줄여 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 PLAY 스토어에서 또타 앱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이후 위치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제공된 목록에는 온도 조절, 질서 혼란, 공지 사항, 시설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불만 신고” 버튼이 있습니다.
- ‘온도 조절’을 선택하면 앱이 서울교통공사와 원활하게 인터페이스하여 실시간 열차 정보를 활용하여 차내 온도를 미세 조정합니다. 위치 정보가 불일치할 경우, 지정된 콜센터를 통해 신속한 지원이 가능합니다.
- 아래 사진을 통해 남겨드렸으니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리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하철 고객센터 및 민원신고 방법
어플을 다운받기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서 고객센터를 통해 전화 및 문자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서울교통공사 전화번호는 ☎1577-1234 입니다. 전화 또는 문자를 통해서 온도조절요청하셔도 되며 현재 위치와 열차번호 등 열차 정보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시면 바로 고객센터에서 조치를 취해 줍니다.
아래 전국 지하철 고객센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민원요청하는 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제 지하철 민원 신고를 해보겠습니다.
- 상단에 연락처 중에서 현재 이용하고 있는 지하철의 고객센터 연락처를 찾아보세요.
- 그리고, 자신이 타고 있는 지하철 차량의 번호판을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이는 칸막이의 문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습니다.(하단에 사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 고객센터에 전화나 문자로 연락하시면 간략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차량 번호, 차량 내 대략적인 위치, 불만사항 세부정보를 포함하세요.
예: 2호선 2740, 중간차, 에어컨 약하게 틀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