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및 미납 통행료 납부하는 방법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방법 지금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 실수로 하이패스를 무단으로 지나치시는 분들은 요금에 대해서 걱정하십니다. 하지만, 무단으로 요금을 미납 하셨어도 바로 조회가 가능하며 따로 납부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을 위해서 바로 미납 요금을 조회할 수 있도록 마련해 두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하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가 있으며 자신의 명의에 차량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차량번호로 확인으로 바로 조회 가능합니다.

링크를 통해서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상단에 조회/납부 목록에 들어가면 하이패스카드, 선불카드, 모바일 충전카드, 미납통행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미납통행료” 를 선택하고 조회 및 납부를 클릭합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자동차세 환급 방법 바로가기

그 다음 확인할 것은 차량번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명의가 다를 경우 확인 사용이 불가하며, 결제는 계좌이체, 신용카드, 가상계좌로 가능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내가 당일에 하이패스 요금을 미납했다면, 하루가 지나야 요금 조회가 가능하다는 것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 청년월세 240만원 지원받기

이제, 조회를 하면 건별 미납통행료 현황 및 당일 미납 통행료 납부 현황이 나옵니다. 만약, 온라인을 통해서 조회하기 귀찮다면, 콜센터를 통해서 미납요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도로공사 콜센터 (☎ 1588 – 2504) 에 전화하셔서 처량 번호를 말하면 바로 미납요금을 알려줍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카카오톡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카카오톡에서도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카카오톡 채널에서 확인 가능하며 “한국도로공사” 채널을 친구 추가해서 미납통행료 조회라고 카톡을 하면 바로 차량번호 확인 후 알려줍니다.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카카오톡에 접속해서 채팅창 상단에 친구추가에서 [한국도로공사]를 검색합니다. 그리고, 옆 쪽에 CH+ 를 눌러서 친구 추가를 하면 두 번째 사진과 같이 진행됩니다. 그리고 목록 중 “미납 통행료 조회” 버튼이 있습니다.
  • 그러면, 질문으로 00가0000 미납 이라고 차량번호를 말하면 결과를 바로 알려줍니다.
  • 물론, 차량조회 후 미납요금을 바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하이패스 미납 요금 납부

그러면, 이제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를 통해서 발생한 금액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톨게이트 : 톨게이트 옆에 보면 영업소가 있습니다. 영업소에 가서 납부를 하거나, 톨게이트에 보면 “현금” 이라고 써있는 곳에서 수납원에게 바로 정산이 가능합니다.
  • 자동차 미납통행료 고지서 : 그리고, 굳이 미납요금을 조회할 필요가 없는 것이 차량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주소지로 미납 고지서가 배송됩니다. 그렇기 때문에기다리셔서 고지서를 받고 계좌 이체 하시면 됩니다.
  • 하이패스 홈페이지 : 위의 말씀드린 것 처럼 하이패스 홈페이지를 통해서 조회/납부 탭에서 확인하여 납부합니다.
  • 고객센터 및 편의점 납부 : ☎ 1588-2504에 전화해서 납부가 가능하며 편의점마다 납부가 가능한 지역이 있습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납부 – 모바일

이제, 한가지를 선택해서 하이패스 미납 요금을 납부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는 PC 뿐 아니라 모바일 어플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플레이스토어에서 “고속도로 통행료”를 검색해서 다운받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아이디를 이용해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 그리고, 대표 차량을 등록하면 바로 세 번째 화면과 같이 미납 통행료 조회 납부가 가능합니다.
  • 참고로, 기간 내 미납요금을 납부하지 않는다면 통행료의 10배의 부가 통행료를 내게 때문에 기간내 반드시 내야합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카드 또는 기계장치를 위조 또는 변조, 통행권을 타인의 통행권과 교환, 타인 소유 감면대상자 증표를 행사, 감면대상자 증표를 위조 또는 변 , 그 밖에 통행료를 납부하지 않고 유로도로를 통행하는 행위( 1년 이내 20회 이상 미납발생 시 20회부터 즉시 부과) 중 하나가 해당한다면 10배의 부가 통행료를 부과하기 때문에 잘 확인하셔서 부가 통행료를 내지 않기를 바랍니다.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Leave a Comment